분류 전체보기 (127) 썸네일형 리스트형 [Node.js] mainRouter.js app.js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const helmet = require("helmet"); const app = express(); app.use(helmet()); const mainRouter = require('./router/mainRouter') app.use('/', mainRouter) //3000번 포트를 사용 할 것이다 app.listen(3000, function (req, res) { console.log("port 3000 서버가 실행 되고 있음") }) mainRouter.js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const router = express.Router(); router.get("/", func.. [Node.js] 보안 관련 helmet 설치 https://www.npmjs.com/package/helmet helmet help secure Express/Connect apps with various HTTP headers. Latest version: 6.0.1, last published: 2 months ago. Start using helmet in your project by running `npm i helmet`. There are 3526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sing helmet. www.npmjs.com npm install helmet const express = require("express"); const helmet = require("helmet"); const app = .. [Node.js] mac에서 supervisor 설치 시, command not found 에러 app.get("/about", function(req, res) { res.send('About Page') }) 크롬에 localhost:3000/about 라고 표시됨. 코드가 변경되면 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야함 그러면 정상적으로 표시 하지만, 이상황이 귀찮으니 npm install supervisor 설치하면 코드 변경 될 때마다, 자동으로 서버 껐다가 켜줌 supervisor app.js 을 하니까 zsh:command not found 에러가 떠서 설치를 sudo npm install -g supervisor 로 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다 [Node.js] Express 사용하여 서버 실행 npm install express 입력 하여 설치 설치 하면 node_modules 라는 폴더 생성됨 package.json 에서 dependencies 에 보면 express 가 명시됨 app.js 에서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입력 require -> node_modules 안에서 ('express') -> express 라는 것을 사용하겠다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const app = express(); app.get("/", function(req, res) { res.send('Hello World'); }) //3000번 포트를 사용 할 것이다 app.listen(3000, function (req, res) {.. [Node.js] 폴더 생성과 구조 npm init 명령어 package.json 생김 mkdir model mkdir views mkdir router 폴더 생성 컴퓨터 스위치 역할하는 app.js 파일 생성 touch app.js package.json [Git] user name, password 입력 하라고 할 때 user name은 오른쪽 상단 아이콘 선택시 표시된 것을 입력 하면 되고, 비밀번호는 Settings 선택 Developer settings 선택 Personal access tokens 의 Tokens (classic) 선택하여 토큰을 만든다 기간과 repo 선택 터미널에 입력 git config --global user.password "복사한 토큰" [Git] mac 깃허브 프로젝트 생성 및 폴더 연결 해당 폴더에서 명령어 입력하기 터미널에 git remote -v 입력하면 연결 된 것 확인 가능 변화된 부분을 업로드 할거면 git add . 커밋 메세지 입력 git commit -m 'first commit' 깃 push 명령어 깃에 업로드 git push origin master 깃 push 했는데, 컴퓨터 누군지 물어본다면 Author identity unknown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사용자이메일"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이름" 터미널 기초 명령어 [ls -al] : 파일 폴더 표시 [mkdir 폴더이름] : 폴더 생성 [rm -rf 폴더이름] : 폴더 삭제 예시 이미지 없음 [touch 파일이름] : 파일 생성 [cd ..] : 상위 폴더로 이동 [html] 인라인(inline), 블록(block) 요소 인라인(inline) - 수평 방향으로 요소가 배치. 줄 바꿈 적용 안됨 - 박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width와 height 속성이 적용되지 않음 - 상하단 마진인 margin-top, margin-bottom 속성이 적용되지 않음 (예시) : : : : : : : : : : 블록(block) - 앞 뒤에 자동 줄 바꿈이 일어나 새로운 줄에 요소가 표시. 수직 방향으로 배치 - 박스 크기 설정하는 width, height 속성 적용 됨 - 모든 마진 설정이 가능 (예시) : : : 에서 : : : : : : : : : 인라인-블록(inline-block) - 수평 방향으로 배치. 줄 바꿈 안일어남 - 블록 방식과 같이 박스의 크기 설정 가능 - 블록 방식과 같이 모든 마진 설정 가능 [css] visited, hover, active .icon-plus:visited { } -visited : 한번 이상 방문 (이전에 클릭한 적이 있는 링크) .icon-plus:hover { } -hover : 마우스 포인터를 글자 위에 올린 상태 .icon-plus:active { } -active : 글자를 클릭한 순간 이전 1 2 3 4 5 6 ··· 13 다음